여름철 비치타올과 수영복, 기능성이라지만 PFAS(영구화학물질)로 인한 체내 축적 우려가 있습니다.
발수·항균 가공이 피부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PFAS-Free 제품 선택 기준을 안내드려 볼까 해요.
👙 “땀도 안 배고 물도 잘 튀니까 좋은 거 아니야?”
해변이나 수영장에 갈 때
“흡수력 좋은 타올”, “항균 수영복”, “발수 기능 탁월”이라는 문구가 붙은
비치 타올, 수영복, 래시가드를 자주 보게 됩니다.
이런 기능성 제품은 분명 편리하죠.
물에 젖지 않고, 땀이 배어도 금방 마르고, 냄새도 덜 나니까요.
하지만 그 ‘기능’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사용된 가공 약품,
특히 **PFAS(PER- 및 POLY-FLUOROALKYL SUBSTANCES, 퍼·폴리플루오로알킬 물질)**이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많은 사람들은 알지 못합니다.
🧪 PFAS란 무엇일까?
PFAS는 ‘영구화학물질(Forever Chemicals)’로도 불립니다.
왜냐하면 자연에서 거의 분해되지 않고, 체내에 축적되며,
수십 년 이상 지속되기 때문입니다.
PFAS는:
- 물·기름·오염 물질을 모두 튕겨내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 항균 처리, 발수(방수) 기능, 방오(때 덜타게 하는) 가공에 널리 쓰입니다.
✅ 대표적으로 PFAS가 사용되는 생활 제품:
- 기능성 운동복
- 수영복, 비치타올, 래시가드
- 논스틱 프라이팬
- 발수 종이컵, 포장지
- 세탁방지 스프레이 등
⚠️ PFAS의 문제점
항목 | 내용 |
체내 축적성 | 분해되지 않고 혈액·간·신장 등에 축적 |
호르몬 교란 | 갑상선 기능 저하, 생식계 문제와 연관 가능성 |
발암 가능성 | 일부 PFAS는 IARC 2B군 발암물질로 분류됨 |
피부 흡수 경로 | 특히 고온·습기·땀 + 피부 밀착 시 흡수 우려 ↑ |
수질 오염 | PFAS는 세탁 시 하수에 포함되어 환경까지 오염시킴 |
📌 최근 유럽연합(EU)은 2030년까지 PFAS 전면 사용 금지를 추진 중이며,
미국도 일부 주에서는 이미 사용 제한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 비치타올·수영복에서 PFAS 노출이 가능한 이유
- 발수 기능 = PFAS 기반 코팅일 가능성 큼
→ 물을 튕기고 금방 마른다는 건, 그 표면이 불소계 처리가 되었을 수 있다는 뜻 - 항균 가공 처리
→ 냄새가 안 나고 세균이 덜 번식한다고 할 때, 은나노 or PFAS 기반 항균제 사용 가능성 - 피부에 밀착 + 장시간 착용 + 땀
→ 여름철 조건은 PFAS가 피부로 흡수되기 좋은 조건 - 세탁 시 유출
→ 기능성 가공된 섬유는 세탁 중 PFAS가 하수로 유출되어 수질·토양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함
PFAS 걱정 없는 제품 고르는 법
체크 포인트 | 설명 |
❌ ‘발수’, ‘항균’, ‘방오’ 기능 강조 제품은 주의 | 기능 표시 없는 일반 제품이 오히려 안전할 수 있음 |
✅ 자연섬유(면, 리넨) 소재 비치타올 선택 | 가공 처리가 적고 통기성 우수 |
✅ 유럽 OEKO-TEX® 인증, GOTS 인증 등 확인 | 유해물질 불검출 테스트를 통과한 원단인지 확인 |
✅ 기능성 제품이라면 세탁 후 사용 | 1~2회 세탁으로 표면 코팅 성분 일부 제거 가능 |
✅ 아이·임산부용 제품은 PFAS-Free 명시 여부 확인 | ‘Non-PFAS’, ‘PFC-Free’ 등 명시된 브랜드를 선호 |
❓ 자주 묻는 질문 (FAQ)
Q. PFAS가 있다고 무조건 몸에 흡수되나요?
A. 아니요. 하지만 고온·땀·피부 밀착 시간이 길어질수록
미량이 누적 흡수될 가능성은 충분히 존재합니다.
Q. PFAS-Free 제품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A. 대부분의 **의식 있는 친환경 브랜드(예: 파타고니아, 텐트마크)**는
Non-PFC / PFC-Free / PFAS-Free를 제품 라벨에 명시합니다.
Q. 국내 브랜드도 PFAS-Free인가요?
A. 일부 친환경 인증을 받은 제품은 PFAS-Free를 지향하지만,
대부분은 성분 공개 없이 ‘기능성’만 강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마무리 요약
여름철에 쓰는 수영복, 비치타올, 래시가드는
단순한 섬유제품이 아니라 기능성 화학 약품이 포함된 가공제품입니다.
특히 발수, 항균, 방오 기능이 강조된 제품일수록
PFAS(영구화학물질) 성분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 물질은 피부를 통해 흡수되거나,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습니다.
이제는 물을 잘 튕기는 것보다,
몸에 잘 남지 않는 제품이 더 중요합니다.
'환경호르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향초·방향제, 좋은 향에 속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2) | 2025.07.22 |
---|---|
모기 기피제도 성분 확인이 필수? | DEET의 진실과 안전한 대안 (6) | 2025.07.21 |
아이스팩 재사용해도 괜찮을까? | 환경호르몬 걱정 없는 안전한 사용법 총정리 (0) | 2025.07.21 |
방수 스마트폰 케이스, 시원한 물놀이 뒤에 남는 환경호르몬? (13) | 2025.07.20 |
여름 물놀이 장난감, 왜 재질부터 확인해야 할까? | PVC·프탈레이트 검출 사례 (2) | 2025.07.20 |
2025년 EWG 1등급 선크림 TOP5 | 성분·안전성 기준으로만 골랐습니다 (14) | 2025.07.19 |
물놀이 후 바르는 선크림, 왜 EWG 기준으로 골라야 할까? | 옥시벤존·옥티녹세이트의 진실 (2) | 2025.07.19 |
야외 캠핑, 어떤 컵과 접시가 진짜 안전할까? | 일회용기 재질별 환경호르몬 비교 (6) | 2025.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