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용품, 왜 성분과 구조까지 꼼꼼히 따져야 할까?
아기를 키우는 부모라면 누구나 한 번쯤 “이 제품, 정말 안전한 걸까?”라는 고민을 해본 적이 있을 거예요.
신생아와 영유아는 면역체계, 장기, 피부 모두 미성숙한 상태이기 때문에, 어른에게는 아무렇지 않은 재질이나 성분이 아기에게는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실제로 같은 플라스틱이라도 어떤 종류냐에 따라 환경호르몬이 나올 수 있고, 젖병의 뚜껑 모양만 바뀌어도 세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커지기도 합니다.
특히 요즘처럼 ‘친환경’, ‘무독성’, ‘BPA-Free’ 같은 마케팅 문구가 넘쳐나는 시장에서는, 오히려 진짜 안전한 제품을 고르기 더 어려워졌어요.
부모 입장에서는 단순히 포장에 적힌 단어만 보고 선택하기보다는, 재질, 구조, 성분을 종합적으로 따져봐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부모들이 유아용품을 고를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핵심 기준 3가지와 함께, 놓치기 쉬운 안전 포인트를 자세히 정리해드릴게요.
아기의 건강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단 한 줄도 놓치지 마세요.
1. 재질이 제일 중요합니다 – BPA-Free만으로는 부족해요
많은 부모들이 제품을 고를 때 "BPA-Free"라는 문구를 보고 안심하지만, 실상은 그보다 더 복잡합니다.
BPA를 빼고 대신 넣은 BPS, BPF 같은 대체물질 역시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많습니다.
그래서 단순히 ‘없다’는 표현보다는, 어떤 재질이 사용됐는지를 직접 확인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재질 | 주 사용용도 | 안정성 | 유의사항 |
트라이탄 (Tritan) | 젖병, 물병 | ★★★★★ | 고온에 자주 노출되면 수명 단축, 주기적 교체 필요 |
스테인리스 | 수저, 식판, 컵 | ★★★★★ | 충격에 약하므로 낙하 주의 |
의료용 실리콘 | 이유식기, 치발기 | ★★★★☆ | 100% 플래티넘 실리콘인지 확인 필요 |
폴리프로필렌(PP) | 젖병 뚜껑, 손잡이 | ★★★★☆ | 식품용 인증 유무 반드시 확인 |
PVC, PS 등 저가 플라스틱 | 장난감, 저가 식기 | ★☆☆☆☆ | 환경호르몬·유해 성분 우려, 가급적 피해야 |
특히 입에 닿는 제품일수록 고온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내열성과 안정성이 검증된 재질인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트라이탄, 스테인리스, 의료용 실리콘이 현재로선 가장 신뢰받는 재질입니다.
2. 외형도 중요합니다 – 세척이 쉬운 구조를 고르세요
아기용품은 형태가 복잡하면 오히려 위험할 수 있습니다.
특히 물이 고이거나, 세균이 쉽게 번식하는 구조라면 아무리 고급 재질이어도 의미가 없어요.
가능한 한 간단하고, 분리 세척이 가능하며, 날카로운 부분이 없는 제품이 안전합니다.
체크리스트 ✅
- 분리 세척 가능한 구조인가요?
- 모서리가 날카롭지 않고, 둥근 디자인인가요?
- 열탕 소독 또는 UV 소독이 가능한 재질인가요?
- 작고 분실 위험이 있는 부속품이 포함돼 있진 않나요?
- 물이 고이거나 내부가 막힌 구조는 아닌가요?
실리콘 이유식기나 치발기 제품을 고를 땐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거나, 세척 시 숨은 틈새가 없는지 꼼꼼히 체크하세요.
3. 성분표와 인증 마크를 직접 확인하세요
“무독성”, “친환경” 같은 표현은 누구나 쓸 수 있습니다.
진짜 중요한 건 공식 인증 마크와 성분표입니다.
제품 포장이나 라벨에서 아래와 같은 인증 마크를 찾을 수 있다면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인증 마크 목록
- FDA / LFGB / KC 인증: 식품 접촉용으로 안전한지 여부
- BPA-Free: 단, BPS/BPF 대체 여부도 별도 확인 필요
- ISO 인증 제조사: 제조공정 및 품질관리 기준 충족
- EWG 등급 성분 사용: 세제, 치약, 물티슈 등에 활용
플라스틱 표기 숫자도 꼭 확인하세요!
- PP (5번): 비교적 안전한 플라스틱
- 트라이탄: BPA-Free 표시 필수
- 304/316 스테인리스: 의료기기나 식기용 고급 재질
특히 **실리콘 제품은 반드시 ‘100% 플래티넘 실리콘’**인지 확인하세요.
일반 실리콘보다 불순물이 적고, 내열성이 훨씬 뛰어납니다.
마무리 요약
- 유아용품은 반드시 재질, 형태, 성분 3가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트라이탄, 스테인리스, 의료용 실리콘이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 BPA-Free라는 말만 믿지 마세요. 전체 성분을 꼼꼼히 살펴봐야 합니다.
- 인증 마크(FDA, LFGB, KC 등)와 제조국, 유통사 신뢰도도 확인하세요.
- 세척이 편하고, 아기 입에 잘 맞는 구조인지도 매우 중요합니다.
'환경호르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안의 패브릭, 얼마나 안전한가요? 환경호르몬 피하는 실전 가이드 (2) | 2025.07.16 |
---|---|
합성향료 vs 천연향료, 향수 성분의 진실과 안전한 선택법 (3) | 2025.07.16 |
바디워시 속 유해 성분, 향기 뒤에 숨은 진실 (2) | 2025.07.16 |
치약·비누·샴푸 성분표 쉽게 읽는 법 - EWG 등급으로 유해성분 구별하는 실전 가이드 (7) | 2025.07.16 |
환경호르몬 걱정 없는 빨대·텀블러 선택 가이드 (6) | 2025.07.15 |
무독성 실리콘 조리도구 추천 BEST 4 · 환경호르몬 걱정 없는 건강한 주방 만들기 (5) | 2025.07.15 |
BPA, 프탈레이트, 파라벤의 진실: 일상 속 숨겨진 호르몬 교란물질 (5) | 2025.07.15 |
EWG 등급표 | 화장품 성분 똑똑하게 확인하는 방법 (1) | 202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