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솔잎진액(솔잎 추출물)은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카테킨, 택시폴린, 프로시아니딘)과 테르펜·디테르펜(α-피넨, 람버티아닉산), 피토스테롤을 함유해 항산화·항염 작용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SREBP-1c·LXR 같은 지질합성 경로와, 일부 성분은 AMPK 경로에 관여해 지질대사 균형에 도움을 줄 가능성이 보고되어 있습니다.
— 아래 정보 확인 후, 원료 유형·성분표를 간편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목차
- 솔잎진액·솔잎 추출물, 무엇이 다른가
- 핵심 성분 지도: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테르펜
- 지질대사 메커니즘: AMPK, SREBP-1c/LXR, 식후 지질(VLDL)
- 인체·동물·세포 연구 한눈 요약
- 섭취 팁·주의사항·라벨 체크리스트
1) 솔잎진액·솔잎 추출물, 무엇이 다른가
솔잎 “진액/증류농축액”은 말 그대로 솔잎을 증류해 얻은 성분에 초점이 맞춰지고, “에탄올/물 추출물”은 폴리페놀 등 용매에 녹는 성분 비중이 큽니다.
국내에서는 ‘솔잎증류농축액’이 건강한 혈당의 유지에 도움(개별인정형 기능성)으로 인정된 이력이 있어, 혈당 쪽 기능성은 증류농축액에서 공식화된 점을 구분하면 좋습니다.
— 제품 이미지를 보셨다면, 아래에서 공식 출처로 기능성 문구를 확인해 보세요. —
2) 핵심 성분 지도: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테르펜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카테킨·프로시아니딘·택시폴린(=dihydroquercetin)이 대표적이며, 항산화 지표와 상관을 보입니다.
테르펜·디테르펜
α-피넨은 항염·대사 관련 신호에 영향 보고가 있고, 람버티아닉산을 포함한 디테르펜은 지질 관련 타깃(예: PTP1B) 억제나 대사 이점 가능성이 제시됩니다.
피토스테롤
솔잎·소나무류 잎에는 스테롤·스테롤 에스터 등 지질 성분도 보고되어 식이 콜레스테롤 흡수 경쟁에 기여 가능성이 논의됩니다.
3) 지질대사 메커니즘: AMPK, SREBP-1c/LXR, 식후 지질(VLDL)
AMPK 축
솔잎(적송·잣나무) 잎에서 분리된 람버티아닉산 및 잎 추출물이 AMPK 활성화와 연동된 항비만·지질개선 메커니즘을 보였다는 전임상 보고가 있습니다.
AMPK는 지방산 합성 억제·산화 촉진을 통해 간·근 조직의 지질 균형을 돕는 중심 축입니다.
SREBP-1c/LXR 축
반면 Pinus densiflora(소나무/적송) 추출물은 세포 모델에서 SREBP-1c·LXR 하향으로 지방합성을 낮췄지만, p-AMPK 변화는 명확치 않았다는 데이터도 있습니다. 즉, AMPK 비의존 경로로도 지방합성 억제가 가능하다는 점이 관찰됩니다.
식후 지질·VLDL
사람 대상에서 Pinus koraiensis(잣나무) 잎 추출물 섭취 후 고지방 부하 시험에서 ApoB100·식후 iAUC 개선 경향 등 식후 지질 대사에 긍정 신호가 보고되었습니다.
경계지질이상 성인의 12주 연구에서는 VLDL 감소(군내)와 항산화(SOD) 증가가 관찰되었지만, VLDL은 보정 후 군간 유의성은 소실되는 등 효과 크기·일관성은 추가 검증이 필요합니다.
4) 인체·동물·세포 연구 한눈 요약
세포
적송(솔잎) 추출물은 간세포에서 지방합성 유전자(SREBP-1c, FAS 등) 억제와 ROS 감소를 보여 지방 축적을 완화했습니다.
동물
잣잎·솔잎 유래 성분은 고지방 유도 모델에서 지질 축적 완화·대사 표지 개선 경향이 보고됩니다. α-피넨 등 테르펜도 항염·저지질 관련 데이터가 축적 중입니다.
인체
경계지질이상 성인 12주 RCT에서 VLDL·혈압·허리둘레 개선 신호(군내)와 SOD 증가(군간 유의)가 보고되었습니다.
4주 고지방 부하 임상에서는 식후 지질(iAUC) 지표 개선 경향이 확인되었습니다.
다만 표준화·용량·추출법에 따라 결과가 달라 신뢰 구간을 넓게 해석하는 것을 권합니다.
—— 연구 링크는 아래에서 한 번에 확인 가능합니다. 늦기 전에 원문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5) 섭취 팁·주의사항·라벨 체크리스트
라벨에서 원료 형태(증류농축액 vs 에탄올/물 추출물), 표준화 성분(예: 택시폴린/프로시아니딘), 1일 섭취량을 먼저 확인해 보세요.
식후 지질 관리 루틴으로는 식이섬유(잡곡·채소), 오메가-3, 식후 15–20분 걷기, 저가당 간식으로 교체만 되셔도 충분히 시작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수유 중, 항응고제·항혈소판제 복용 중, 소나무/수지류 알레르기 있으면 섭취 전 전문가 상담을 권해 드립니다.
국내 기능성 문구는 ‘솔잎증류농축액(혈당 유지)’에 한정되어 왔으므로, 지질 관련 주장은 개별 제품 임상·성분표를 반드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접속을 통하여 지금 바로 성분·함량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아래 배너에서 성분 비교표를 간편하게 확인 가능하며, 후기도 함께 보실 수 있습니다. —
참고 기사·자료(신뢰도 확보용)
솔잎증류농축액의 기능성(혈당 유지) 관련 국내 공지·DB, 재평가 고시 자료를 통해 제도적 근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2024–2025년 공개 임상·리뷰 논문에서 식후 지질·ApoB100·AMPK 관련 단서가 축적되고 있습니다.
BioMed Central+3식품의약품안전처+3식품안전나라+3
핵심 요약(솔잎진액 · 솔잎 추출물)
솔잎진액/추출물은 항산화·항염 기반으로 지질대사에 긍정적 신호가 있고,
전임상에서는 AMPK 활성·SREBP-1c/LXR 억제 등 다양한 경로가 관찰되었습니다.
사람 연구에서는 식후 지질(특히 ApoB100, iAUC) 개선 경향과 VLDL 군내 감소·항산화 증가가 보고되었으나,
추출법·용량·기간에 따라 효과 크기가 달라 제품별 근거 확인이 꼭 필요합니다.
국내 공식 기능성은 현재 솔잎증류농축액의 혈당 유지로 분명히 구분됩니다.
지질(특히 VLDL/식후 지질) 목적이라면 표준화 지표와 제품 임상을 먼저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근거·참고문헌(선정 요약)
- 소나무 잎 항산화/프로시아니딘 연관성 정리. PMC
- 적송 잎 추출물의 지방합성 억제, SREBP-1c/LXR 하향, p-AMPK 변화 불명확. PMC
- 잣잎 추출물의 AMPK 연계 항비만·지질개선 기전(전임상). BioMed Central
- 잣잎 추출물 12주 RCT(경계지질이상): VLDL 군내 감소, SOD 증가(군간). PMC
- 4주 식후 부하 임상: ApoB100·iAUC 개선 경향(식후 지질). PubMed
- α-피넨의 대사·항염 관련 근거(리뷰/전임상). PMC
- 솔잎증류농축액의 국내 기능성(혈당 유지) 고시·DB. 식품의약품안전처+1
'건강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 탈모 비상신호: 페리틴·아연·비타민D 수치표 + 영양소 듬뿍든 음식 레시피 6가지 (0) | 2025.09.30 |
---|---|
탈모, 미녹시딜 제대로 알기: 도포 vs 경구, 효과 올리는 사용법과 주의점 (0) | 2025.09.29 |
깻잎 영양소·효능 한번에 끝! 로즈마린산부터 칼슘까지 + 3가지 레시피 (0) | 2025.09.28 |
“케라넷 영양제 효과? 기장밀추출복합물로 모발 윤기·탄력 업” (0) | 2025.09.27 |
가을 전어 효능과 영양, 구입·보관·손질·레시피 한 번에 (0) | 2025.09.26 |
삼백초 효능·부작용 한눈에: 차로 마시는 법과 어성초와 차이 (0) | 2025.09.25 |
🌿 글루타치온 효능과 음식 섭취 오해|간 해독·항산화 핵심 가이드 (0) | 2025.09.24 |
서해안 꽃게 제철, 영양소와 보관,구매법·레시피까지 완벽가이드 (0) | 2025.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