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자동차 안은 그야말로 ‘달궈진 밀폐 공간’입니다.
주차된 차 안에 들어갔다가 열기로 숨 막힐 뻔한 경험, 누구나 한 번쯤 있으실 겁니다.
하지만 단순히 ‘더운 정도’만 문제일까요?
뜨거운 온도에 의해 자동차 내부의 플라스틱, 고무, 합성수지 소재에서 환경호르몬이 방출될 수 있다는 사실,
아직 많은 소비자들이 인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대시보드 위에 올려둔 텀블러, 선글라스 케이스, 스마트폰 거치대에서
**비스페놀A(BPA), 프탈레이트, 벤젠 등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여름철 자동차 내부 온도 변화와
환경호르몬 방출과의 연관성 실험을 기반으로,
생활 속에서 어떤 제품을 조심해야 하는지,
어떻게 사용하면 더 안전한지 구체적으로 알려드립니다.
🌡 자동차 실내 온도, 얼마나 뜨거울까?
기온 32℃ 기준, 주차된 차량 실내 온도 변화 실험 결과
주차 경과 시간 | 차량 내부온도 | 대시보드 위 온도 |
10분 | 약 40℃ | 약 55℃ |
30분 | 약 55℃ | 약 70℃ |
60분 | 약 65℃ | 약 85℃ 이상 |
실내 공기 자체도 뜨겁지만,
대시보드나 선반 위 플라스틱 소재는 80~90℃까지 치솟을 수 있습니다.
🧪 어떤 실험 결과가 있었을까?
한국소비자원·미국 환경보호청(EPA)·일본 후생노동성 등에서
차량 내부 플라스틱 소재의 고온 노출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유해물질 검출 결과가 보고됐습니다:
제품 위치 | 재질 | 온도 노출후 방출 성분 | 유해성 |
텀블러 (플라스틱 뚜껑) | 폴리카보네이트 | BPA | 내분비계 교란 |
선글라스 케이스 | PVC | 프탈레이트 | 생식기능 저하 |
차량 내장재 | 우레탄폼, ABS | 톨루엔, 벤젠 | 호흡기·신경계 자극 |
휴대폰 거치대 | 고무 + 접착제 | VOCs | 두통, 어지러움, 피로감 |
특히 여름철 차량 내 환경에서는
✅ 고온
✅ 밀폐
✅ 햇빛 직접 노출
이라는 3가지 조건이 동시에 작용해
유해 물질이 쉽게 공기 중으로 휘발되고,
호흡기나 피부를 통해 체내에 흡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어떤 제품이 특히 위험할까?
1️⃣ 플라스틱 텀블러 & 일회용 컵
- 차량 내 방치된 플라스틱 물병이나 텀블러 뚜껑에서
고온 노출 시 **비스페놀A(BPA)**가 용출될 수 있습니다.
✅ 스테인리스 텀블러 or 유리병 사용 추천
❌ 플라스틱 컵을 차량에 장시간 두지 말 것
2️⃣ PVC 선글라스 케이스
- PVC 재질에서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여름철 열에 의해
공기 중으로 날아가거나, 손에 묻어 흡수될 수 있습니다.
✅ PU 인조가죽 또는 천 재질 케이스 추천
❌ PVC + 광택 코팅된 제품은 여름철 차량 내 보관 피하기
3️⃣ 차량 방향제·거치대·쿠션
- 차량용 방향제에는 합성 향료 + VOCs 혼합된 경우 많음
- 고무 재질 쿠션이나 접착제 사용된 거치대도
열에 취약해 유증기 발생 우려
✅ “무향”, “EWG 그린등급 향료 사용” 명시된 제품 선택
❌ 인공 향 강한 제품, 오래된 고무 부속품 주의
✅ 여름철 차량 환경호르몬 줄이는 생활 수칙
- 플라스틱 텀블러, 물병은 차량에 두지 마세요
- PVC 재질의 선글라스 케이스는 되도록 꺼내 보관하세요
- 천연소재 자동차 시트, 대시보드 커버 사용 추천
- 햇빛 가리개, 차량 커튼 등으로 실내 직사광선 차단
- 차 문 열기 전, 1~2분간 환기 먼저 하세요
- 향료나 방향제는 최소화, ‘성분표기 제품’만 사용하세요
📌 마무리 요약
여름철 자동차 안은 단순히 더운 공간이 아닙니다.
플라스틱, 고무, 합성섬유 등 다양한 인공 소재가 고온에 노출되면서 환경호르몬을 방출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공간입니다.
특히 대시보드 위나 뒷좌석에 방치된
✅ 플라스틱 텀블러
✅ PVC 선글라스 케이스
✅ 차량 방향제
는
환경호르몬 용출 가능성이 높으므로, 사용 습관과 보관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 내가 타는 차 안에서 어떤 화학 성분이 쌓이고 있는지,
한 번쯤 점검해볼 때입니다.
'환경호르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레인지용 랩과 환경호르몬, 진짜 안전한 제품은? (0) | 2025.08.04 |
---|---|
안경테·선글라스에도 환경호르몬이? 재질별 안전도 비교 (0) | 2025.08.03 |
파라벤 없는 샴푸 BEST 5 | 두피 자극 없이 건강하게 (0) | 2025.08.02 |
유해염료 없는 속옷 브랜드 추천 5 (0) | 2025.08.01 |
친환경 주방세제 5종 리뷰 (0) | 2025.07.31 |
EWG 그린등급 바디워시 추천 TOP5 (0) | 2025.07.30 |
환경 호르몬 걱정 없는 치약 추천 TOP5 (0) | 2025.07.29 |
2025년 환경 호르몬 걱정 없는 텀블러 추천 TOP 5 (5) | 2025.07.28 |